파이썬판다스 따라하기/1개발환경구축

#개발환경구축2편 - Jupyter Notebook 알아보기 및 시행착오

모두의 실험실 2023. 5. 21. 12:47
728x90

아나콘다 설치와 환경변수 설정이 끝났다면 

파이썬 코딩 시작한 준비가 다 된것임

 

반복적으로 말하지만 포기 없이 꾸준히 하면

열매는 반드시 열리게 됨

 

코딩이 힘들고 잘 안풀릴 때 마다 포기 하지말고

본인이 하려는 꿈과 목표를 계속해서 상상하면서

잠시 쉬면서 '난 반드시 해낼수 있다' 라는 생각을

하면 다시 시작 할 수 있음

모든건 내 마음먹기에 달려 있기에 정신력 또한

종이 한장 차이임

 

포기하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문제해결이

안될때가 주로 그러함

운전하는것과 유사함 길이 막히면 돌아가더라도

다른 방법이 분명이 존재함

 

차분하게 본인이 원하는 결과물 형태가 아니더라도

우선 실행하여 비슷한 형태라도 만드는 것이 중요함

 

그렇게 계속 하다가 보면 실력이 늘어나고 

예전에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는 

이제 본인에게는 초등학교 산수 문제와 같은

수준으로 보이게 됨

그 만큼 본인이 실력을 가지게 되었다는 의미임

 

다양한 파이썬 개발툴이 있지만 Jupyter Nootbook으로

실습하면서 배울 예정임

본인이 원하는 개발툴을 찾아도 무방함

하지만 파이썬 코딩을 계속하면 자연스레 여러 개발툴들을

접하게 되고 그때 환경을 바꿔 코딩해도 됨

초보자는 미리 지금 개발툴 고르는 시간을 쓰는것 보다는

코딩 실습 한번이라도 더 해보는 것을 추천함

 

마치 골프 처음 입문할때 장비고르는 것에 신경쓰기 보다는

좋은 프로님을 알아보고 스윙한번이라도 더 해보는게

중요하다는 것과 같음

 

 

찾기에서 Jupyter Notebook을 검색 하거나

윈도우 시작 > Anaconda3 (64-bit) >

 Jupyter Notebook (anaconda3) 순서대로

클릭하면 2번의 주피터노트북 상태창이 활성화

된 다음 3번과 같이 주피터 노트북이 실행됨

 

2번은 주피터 노트북 환경의 상태창이며 웹으로

코딩을 하는 환경이므로 웹접속 코드가 부여되어있음

2번은 자세히 보면 http://localhost:8888/?token=39e1e6xxxx가 적혀 있음

가끔 상태창만 실행되고 웹이 활성화 안될경우는 

주소를 복사하여 본인이 자주사용하는

'chorme' 이나 'microsoft edge'의 주소란에 붙여 주면

3번의 'Home Page' 탭의 Jupyer 기본경로의 폴더 및 

파일 리스트들을 볼 수 있음

 

기본경로는 anaconda3가 설치된  'C:\Users\본인사용자이름'

로 셋팅되어 있음 기본 폴더에 파이썬 코딩과 관련된 파일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음

 

3번의 New를 클릭하고 Python3를 하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됨

폴더를 가서 보면 Untitled0.ipynb의 파일 형태로 생성됨

.ipynb는 IPython Nootbook을 줄임말임

 

4번 만들어진 파일에서 print 함수를 사용해서

출력을 하면 바로 아래에 결과물을 볼수 있음

 

print함수는 괄호를 감싸고 문법에 오류없는 형태의

변수나 상수 등을 입력하면 그대로 출력해줌

 

이제부터는 코딩만 하면됨

 

주피터 노트북의 장점은 코드 디버깅을 하는데 용이함

 

그 역할을 해주는 것이 실행창을 여러개 생성하여 진행함

그래서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한뒤 디버깅(오류수정)이

완료되면 .py파일 형태로 만들어 주면

본인만의 코드를 쉽고 빠르게 만들수 있음

 

 

여러개의 창을 만들수도 있고 복잡하다고 생각되면

지울 수도 있음

 

각각의 창에서 코드를 수행수는 있지만

변수는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최종 코드 테스트를 할때는 '■' 오른쪽 회전모양의

아이콘으로 변수초기화를 한 뒤에 '▶Run'을 수행 해야함

 

Ctrl + 엔터 : Run (실행)

Ctrl + m 이후 b : 실행창(Cells) 추가

dd : 실행창(Cells)  제거

 

주로 3개의 단축키를 사용함

 

각각 ln[] 표시가 된 각 실행창을 실수로 지웠을 때는

상단 Edit을 누른후 'Undo Delete Cells'를 하면

지워진 Cells가 복원이 됨

 

그리고 주피터 노트북을 사용하다가 Cells의 Run을 

수행하면 kernel 관련 예러로 코딩을 할수 없을 때도 발생함

 

그럴때는 pyzmq라이브러리를 삭제해서 특정버전을 설치하거나

주피터를 강제 재설치 하는 방법이 있음

 

1. pyzmq 삭제후 특정버전 설치

Anaconda prompt에서 'pip uninstall pyzmq' 실행하여 삭제

'pip install pyzmq==19.0.2' 실행하여 재설치

 

2 주피터 재설치

Anaconda prompt에서

'pip install --upgrade --force-reinstall --no-cache-dir jupyter --user' 실행하여

강제 재설치

 

태그

-------------------------------------------------------------

#python, #파이썬, #anaconda, #아나콘다, #기초, #클래스, #class, #import, #selenium, #셀레늄, #자동, #교육, #코딩교육, #coding, #chatgpt, #챗GPT, #로봇,

 

 

728x90
반응형